음차 및 한국어 번역에 대한 기준 마련

172 views
Skip to first unread message

holee

unread,
Jul 30, 2024, 7:08:43 AM7/30/24
to yari-content-ko
안녕하세요. 

현재 겪고 있는 문제 상황을 공유하고자 우선 메일드렸습니다.

MDN 문서 기여하는 과정에서 적절하게 원문의 의미를 전달하기 위해 많은 고민들이 그동안 오고 갔습니다. 그 중 기술 용어 번역에 생각보다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현재까지 번역된 MDN 문서들은 (1) 음차, (2) 한국어 번역 중 하나를 선택하여 번역되고 있습니다. 어떤 방식으로 번역을 할지 결정하는 것은 어려운 일입니다. 독자들은 커뮤니티에 따라, 분야에 따라, 언어에 따라, 각각의 주관적 기준에 따라 어색하다고 느끼기도 자연스럽다고 느끼기도 합니다. 

그동안 느낀 가장 큰 문제는 정해진 표준이 없습니다. 문제를 해결하고자 국립국어원이나 마이크로소프트 문서에 사용된 용어, 구글링 및 기존 문서에서 사용된 빈도가 높은 용어등을 조사 및 의논하여 결정하기도 했으며, 한국어 번역 원칙을 우선으로 세우기도 했습니다. 또한, 일관된 용어 번역을 위해 (1) MDN 용어 안내서(링크), (2) 전체 공통 용어 안내서 만들기(링크)의 시도도 있었습니다.

최근 flow layout을 대열 레이아웃으로 번역된 PR#21745(링크)을 보며, 번역에 대한 의견 대립이 있을 때 또 주어진 선택지가 최선이 아닐 때, 의사 결정을 위해 참고할만한 안내서를 명시적으로 작성할 필요를 느꼈습니다. 기술 용어를 번역할 때, 기준과 절차를 마련하고자 합니다.

좋은 의견 있으시면 공유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이호찬 | Team yari-content-ko

✉️ Email: [email protected]
🌐 Github: hochan222

이상철

unread,
Jul 30, 2024, 7:27:52 PM7/30/24
to yari-content-ko
저는 "표준"을 정할 때에는 모두가 납득할 수 있는 공신력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국립국어원에 "공공언어 감수" 기능이 있습니다. flow layout 과 같은 의견 분쟁이 있을 경우 해당 창구를 사용하는 것은 어떨까요?


2024년 7월 30일 화요일 오후 1시 8분 43초 UTC+9에 [email protected]님이 작성:

Jongha Kim

unread,
Jul 31, 2024, 9:50:58 AM7/31/24
to 이상철, yari-content-ko
청구 현황을 살펴보니 문화재안내판 문안 검토 요청, 캠페인 슬로건 관련 같이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용어인지라 IT쪽과는 거리가 있어보입니다. 

그보다는 각 번역 커뮤니티 번역 위원회(?)라도 발족하는게 어떨까요? 😎
몇 개 없는걸로 알고 있는데 이 곳에서 정해진다면 사실상 표준이 될듯 합니다. 

2024년 7월 31일 (수) 오전 1:27, 이상철 <[email protected]>님이 작성:
--
이 메일은 Google 그룹스 'yari-content-ko' 그룹에 가입한 분들에게 전송되는 메시지입니다.
이 그룹에서 탈퇴하고 더 이상 이메일을 받지 않으려면 [email protected]에 이메일을 보내세요.
웹에서 이 토론을 보려면 https://groups.google.com/d/msgid/yari-content-ko/4ba68c8a-b38c-4acf-9fed-ad44e6c1f9een%40googlegroups.com을(를) 방문하세요.

Vivi Yoon

unread,
Aug 1, 2024, 6:01:42 AM8/1/24
to yari-content-ko

어 ... 이 스레드에 제가 단 댓글이 안 보이는데 ... 잘 전송이 된 걸까요 . . . ? 
2024년 7월 31일 수요일 오후 3시 50분 58초 UTC+9에 [email protected]님이 작성:

holee

unread,
Aug 1, 2024, 7:49:42 AM8/1/24
to yari-content-ko
"어 ... 이 스레드에 제가 단 댓글이 안 보이는데 ... 잘 전송이 된 걸까요 . . . ? " 외에는 보이지 않습니다. 혹시 가입 승인전에 메일 주셨을까요? 권한 설정 이후 처음으로 메일 주셔서, 어느 부분에서 문제 발생하고 있는지 확인해보겠습니다.

---

MDN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한, 최종 판단은 결국 팀 내에서 이뤄져야 합니다. 그 과정에서 국립국어원에 "공공언어 감수" 창구로 문의 드리는것은 좋다고 생각합니다. 국립국어원의 경우 문의 게시글은 일정 기간이 지나면 제거가 되어서 문의 드리더라도 별도로 기록 남겨두는것이 좋아보입니다.

하나하나 먼저 정의하기보다는 의견 대립이 발생했을 때마다 판단하여 추가하는것이 개인적으로는 좋아보입니다. 

지금까지는 PR이나 이슈를 통해서 그때 그때 의견을 나누고 결정을 했습니다. 절차나 최종 판단자가 명확하지 않아 지연이 되거나 기록을 찾기가 힘든 경우가 많았습니다. 결정되더라고 커뮤니티 내에 공유가 되지 않는 경우도 많았습니다. 이전 메일에서 언급드린 방법들은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지 못했습니다.


> 그보다는 각 번역 커뮤니티 번역 위원회(?)라도 발족하는게 어떨까요? 😎
발족 전에 MDN 내의 기준을 마련하는것은 어떨까요? MDN 문서의 범위가 넓다보니 다른 커뮤니티와 다르게 MDN 내에서만 발생하는 문제들도 있어서요. 다른 커뮤니티 용어 관련 참고 링크 하기에 첨부드립니다.

최소한 아래 두 가지는 문서로 명시되면 좋겠습니다.

(1) 결정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진행해야할 절차 정의.
  - 일관된 문서와 판단 기준을 마련하기 위해, 문제 발생시 공통적으로 검토를 하는 정형화된 절차가 필요합니다.
(2) 판단의 근거가 되는 기록을 남김.
  - 추후 동일한 주제에 대해 문제 발생 시, 참고할 수 있는 이전 기록이 존재해야 합니다. 

---
2024년 8월 1일 목요일 오후 12시 1분 42초 UTC+9에 [email protected]님이 작성:

Vivi Yoon

unread,
Aug 1, 2024, 7:54:39 AM8/1/24
to yari-content-ko
잘 안 된 것 같군요 ... ㅎㅎ 다시 작성해 보겠습니다. 
@hochan 님, 이전에 "어..." 로 시작하는 메시지는 잘 전송이 돼서 권한 관련 문제는 아닌 것으로 추측됩니다. 아마도 일시적인 오류인 것 같아요.


제가 해당 PR을 작성한 사람으로써, 의견을 내도 되는지 아닌지 모르겠지만 일단 의견 내보겠습니다.

저도 관련 문제에 대해 번역하면서 어려움을 겪었던 적이 여러번 있어서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안들을 생각해 봤어요.

1. 우선 연관 PR 의 경우에는 한자어 사용의 피로도 최소화 + 원문 의미 반영을 위해 음차를 제안합니다. (ex. 플로우 레이아웃, 네임스페이스 등 ...) 

2. 정보통신용어사전을 실험적으로 사용하거나 사용을 검토해본다.

3. 새 용어의 추가는 Glossary Guide 에 PR 을 생성한다. (이는 지금도 봐야 하는 안내서가 여럿 있어서 용어 안내서 일원화, 히스토리 파악을 위함입니다.) 

   ㄱ. 논의가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언어는 Glossary Guide 에 업데이트 후 PR 을 생성한다.

   ㄴ. yari content ko 멤버 분들이 이를 리뷰하고 논의하여 용어를 정립한다.

   ㄷ. 의견이 결정되면 문서 내 해당 용어가 있는 행에 PR 을 링크하고 머지한다.





2024년 8월 1일 목요일 오후 1시 49분 42초 UTC+9에 [email protected]님이 작성:

이상철

unread,
Aug 1, 2024, 9:17:28 AM8/1/24
to yari-content-ko
저도 의견 대립이 발생했을 때마다 판단해서 추가하는 것이 좋아 보입니다.

아래는 제가 추천하고 싶은 절차입니다.

1. 문제의 단어가 발생할 경우 이슈를 발행해 공개적으로 의견을 모은다
   - 정식 절차 시작 및 정보가 흩어지지 않도록 함. + 기록
2. 이슈 발행과 동시에 국립국어원에 "공공언어 감수" 창구로 문의한다
  - 최소한의 공신력 확보
  - vivi 님이 이야기 주신 정보통신용어사전에 함께 문의해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
3. 이슈의 의견 및 국어국립원의 답변을 토대로 논의 진행
4. yari-content-ko 팀이 최종 결정
5. glossary에 단어 및 이슈 링크 추가
  - 히스토리 + 근거
6. 이슈 클로즈, PR 머지

호찬님이 이야기 주신 정형화된 절차 및 기록에 부합하면서도 최소한의 공신력을 가질 수 있을 것 같습니다.

2024년 8월 1일 목요일 오후 1시 54분 39초 UTC+9에 [email protected]님이 작성:
Reply all
Reply to author
Forward
0 new messages